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완전정리|내가 받을 연금은 얼마일까?

magandmag

2025년 11월 07일

출처: unsplash

국민연금, 정확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노후 준비의 핵심은 바로 국민연금 수령액입니다.
하지만 “내가 매달 얼마나 받게 될까?”는 쉽게 계산하기 어렵죠.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고, 실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게요.


1.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의 기본 공식

국민연금공단은 아래의 기본 공식을 사용합니다.

연금월액 = A값 × 0.5 + B값 × 0.5 × 가입기간/40년

여기서,

  • A값: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액
  • B값: 개인의 평균소득월액
  • 가입기간: 국민연금 가입 총 기간(단위: 년)

예를 들어, A값이 280만 원, B값이 250만 원이고, 가입기간이 30년이라면

(280만 × 0.5) + (250만 × 0.5 × 30/40)
= 140만 + (125만 × 0.75) = 약 233만 원/월

이처럼 A값(전체 평균)B값(본인 평균) 이 핵심 요소입니다.


출처: unsplash

2. 국민연금 A값과 B값이란?

✅ A값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

  • 매년 국민연금공단에서 고시하는 평균소득월액
  • 2025년 기준 약 2,880,000원 수준
  • 매년 조금씩 상승함

✅ B값 (본인 평균소득)

  • 가입자가 국민연금을 납부한 전체 기간의 평균 소득금액
  • 즉, “평균적으로 얼마의 급여를 받고 있었나”를 의미

👉 결론: A값은 전체 평균, B값은 나의 평균
이 두 가지가 결합해 실제 연금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3. 국민연금 수령액 예시 계산

구분월소득가입기간예상 연금액(월)
사례 1200만 원20년약 73만 원
사례 2250만 원30년약 120만 원
사례 3300만 원40년약 180만 원
사례 4400만 원40년약 210만 원

※ 위 금액은 2025년 기준 추정치이며, 실제 수령액은 물가상승률과 연금조정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 나무위키
출처: 나무위키

4.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3가지

① 국민연금공단 공식 사이트 이용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클릭 바로가기
  • 메뉴: 내 연금 알아보기 → 예상연금조회
  •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자동 계산 가능

② 간단한 수동 계산

  • 월소득 × 납부기간 × 보정계수(약 0.015)
  • 예: 300만 원 × 30년 × 0.015 = 약 135만 원
    → 대략적인 예상금액 산출 가능

③ 모바일 앱 “내연금” 활용

  • 국민연금공단 공식 앱
  • 최근 소득 기준 실시간 자동 계산 지원
  • 본인인증만 하면 간단하게 확인 가능

5.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차이

구분설명수령액 변화
조기수령60세 이전(최대 5년)부터 받기매년 약 6%씩 감액
연기수령65세 이후(최대 5년 연기)매년 약 7.2%씩 증가

예를 들어, 원래 65세부터 100만 원을 받을 예정이라면

  • 60세 조기수령 시: 약 70만 원
  • 70세 연기수령 시: 약 136만 원

👉 여유 자금이 있다면 연기수령이 유리합니다.


6. 국민연금 수령 시점과 신청방법

  • 수령연령: 1969년생 이후는 만 65세부터
  • 신청 시기: 수급 개시 1개월 전
  • 신청 방법:
  • 국민연금공단 방문
  • 정부24 홈페이지
  • 모바일 ‘내연금’ 앱

📌 신청 시 신분증, 통장사본, 혼인·가족관계 증명서 등이 필요합니다.


돈 (r617 판) - 나무위키
출처: 나무위키

7.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방법

  1. 가입기간 연장하기 → 60세 이후에도 계속 납부 가능
  2. 임의계속가입 신청 → 퇴직 후에도 자발적 가입 유지
  3. 소득 상향 신고 → 납입금이 높을수록 수령액도 증가
  4. 연기수령 활용 → 최대 36% 이상 연금 증액 효과

국민연금은 단순히 ‘의무적으로 내는 돈’이 아니라
노후의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어주는 자산입니다.
내가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미리 계산해두면
더 현명한 재정 설계가 가능합니다.

💡 오늘 바로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서 “예상연금 조회”를 해보세요.
당신의 노후 준비는 이미 시작된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